혜자 : 밥 먹고 산책 가자.
성준 : 어디로?

혜자 : 정릉!
성준 : 좋아.

산책을 하자고 하면 늘 귀찮다고 거절하던 아내가 웬일로 먼저 산책을 제안했다. 의외이긴 했지만 좋았다. 요즘 연일 계속된 음주와 만찬에 이어 어제 '토요식충단'에서 너무 먹어서 그런지 오늘 아침부터는 식사량을 좀 줄이기로 한 아내와 함께 삶은 계란과 빵, 야채 , 과일 등으로 가벼운 아침식사를 하고 정릉을 향해 길을 나섰다. 정릉은 몇 주 전 이사 온지 2년만에 커피숍에서 만난 영화감독 한지승(중학교 동창이다)과 그의 동생 희정이가 추천해서 처음 갔었는데 굉장히 조용하고 넓어서 좋았다. 오늘도 역시 그곳은 고요하고 한산했다. 아내와 산책로를 천천히 거닐며 이런저런 농담을 주고 받았다. 각자 자라면서 있었던 부모 형제들과의 슬프고 즐겁고 애틋했던 일화들을 얘기했고 앞으로의 계획에 대해서도 상의를 했다. 앞으로의 계획에 대한 결론은 한 마디로 '천천히 생각하자'는 것이었다.

산책을 마치고 흥천사쪽으로 향하다가 길을 잘못 들었다는 것을 깨닫고 다시 길을 거슬러 올라갔다. 전에 가보지 못한 낯선 골목으로 들어섰는데 어느집 대문 앞에 멀쩡한 반닫이와 자개장이 떡하니 서 있는 것이 아닌가. "이런 게 왜 여기 서 있는 걸까?" 라고 아내가 묻는 사이 나는 무슨 생각에서인지 냅다 대문 안쪽을 향해 소리를 질렀다. "계세요...?" 아무 소리가 없길래 초인종도 눌렀다. 곧 인터폰으로 "누구세요? 무슨 일이신데요?"라고 묻는 아주머니의 목소리가 들렸다. 지나가다가 대문 앞에 있는 가구들을 보고 여쭤보고 싶은 게 있어서 인터폰을 눌렀다고 했더니 덜컹, 하고 대문이 열렸다.

50대 말에서 60대 초반으로 보이는 아주머니 한 분이 니오셨는데 인상이 매우 곱고 점잖았다. 우연히 지나가다가 마주친 자개장과 반닫이가 너무나 멀쩡해서 '왜 이렇게 밖에 나와 있느냐'고 묻고 싶었다고 했더니 사정이 생겨 집에 둘 수 없게 되었다는 대답이 돌아왔다. 방을 하나 비워줄 일이 생겼는데 눈물을 머금고 돌아가신 어머니가 쓰신던 가구를 내놓을 수밖에 없게 되었다는 것이었다. 그렇다면 혹시 우리가 이걸 가져가도 되겠냐고 물었더니 흔쾌히 괜찮다고 하셨다. 다만 비가 온다는 소리가 있어서 내일쯤엔 구청에서 가져갈지도 모르니 원한다면 오늘 가져가야 할 것이라는 대답이었다.

우리가 먼저 탐을 낸 것은 반닫이였다. 아내나 나나 원래부터 작은 고가구를 좋아하는 데다가, 크기도 작아서 우리집 거실 어딘가에 딱 맞을 것만 같았다. 그런데 자개장도 상태가 너무 좋았다. 자개가 상한 곳이 하나도 없었고 장문을 열어보니 안쪽에 옻칠이 조금 일어난 것 말고는 멀쩡했다. 가구를 아주 조심스럽게 쓰는 분이었던 것 같았다. 그냥 일반 집에 놓으면 그저 그럴지 몰라도 예술가의 작업실이나 청담동 고급 까페 같은 데 갖다 놓으면 당장 빛을 발할 물건이었다.

나는 지난 주 목요일 이사를 간 '옆집총각' 동현에게 카톡을 하고 전화를 걸었다. 미안하지만 지금 이곳으로 차를 가져와서 반닫이를 우리집까지 옮겨줄 수 없겠냐고. 자다가 일어나 전화를 받은 동현이 15분만에 정릉 앞으로 달려왔다. 그 사이 아내는 '행동(行洞) 단톡방(패션 디자이너 김행자 여사가 회장이라 이름이 행동이다)'에 이 집 주소와 사진, 그리고 간단한 사연을 올렸다. 길에서 마주친 물건이 너무 아까우니 누구라도 가져가셨으면 좋겠다는 내용이었다. 아니나 다를까, 도자기를 빚는 배주현 작가에게서 금방 콜이 왔다. 자개장을 가져가고 싶다는 것이었다. 일요일이라 비용을 더 비싸게 부르는 용달차를 불렀다고 했다.

다시 초인종을 눌러 주인 아주머니에게 가게에서 산 커피를 한 병 드리며 반닫이는 우리 부부가 가져가고 자개장은 가져갈 사람이 정해졌다고 했더니 안 그래도 자기 남동생이 이얘길 듣고 반닫이가 너무 아깝다고 했다는 소식을 전해주셨다. 자기도 미술을 전공한 사람이라고 했다. 마지막으로아주머니와 아내가 전화번호를 교환하고 우리는 동현의 차에 반닫이를 싣고 집으로 왔다. 반닫이를 차에 실으면서 가구를 밀던 내가 손가락에 나무가시가 박히는 불상사가 일어났다. 아내는 혀를 끌끌 찼다. 일 못하는 사람은 뭘 해도 성과 없이 쉽게 다치기나 한다는 것이었다. 면목이 없었다. 동현이 땀을 흘리며 반닫이를 들여놓는 동안 나와 아내는 내 손가락에 박힌 가시를 뺄 쪽집개를 찾느라 집안에서 부산했다.

반닫이도 들여놓고 가시도 뽑았다. 반닫이는 맞춤이라도 한 듯이 TV 옆 책꽂이 앞에 딱 들어맞았다. 우리, 참 웃기는 사람들이야. 그치? 아내가 말했다. 산책을 하다 말고 가구를 들고 오질 않나, 다른 사람에게 용달을 불러 자개장을 실어가라고 하질 않나. 마침 배주현 작가가 보낸 카톡 사진을 보니 작업실에 들어선 자개장이 마치 예전부터 거기 있었던 것처럼 잘 어울렸다. 거실에 들어선 반닫이엔 고양이 순자가 자기집처럼 들어가 놀고 있길래 쫓아냈다. 그녀도 반닫이가 마음에 드는 모양이었다. 아무 생각 없이 나섰던 산책길에서 너무 많은 것을 얻었다. 이런 게 생활 속 작은 행운 아닌가. 그렇다면 우리는 행운아 이닌가. '행운아'가 남성이라면 아내는 '행운녀'라고 불러야 하는 건가? 아무튼.



'길위의 생각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윤선이, 미숙이, 은주 씨  (0) 2018.12.23
우리는 모두 한때 바보였다  (0) 2018.12.17
실수담이 많은 게 낫다  (0) 2018.11.30
하기 싫은 걸 안 할 자유 - 한량한림  (0) 2018.11.13
영혼의 문신, 이름  (1) 2018.10.26
Posted by 망망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