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인 병에는 어째서 코르크 마개가 달려 있을까? 새로운 인조 코르크 마개는 대체로 진짜 코르크보다 따기도 쉽고 오래가며 잘 부서지지도 않는다. 하지만 한 병의 멋진 와인을 고를 때 중요한 것은 얼마나 병을 따기 쉬우냐가 아니다. 그 소박하고 전원적인 느낌이 중요한 것이다.  

- 세스 고딘의 [보랏빛소가 온다2] 중에서 



효율만 따지며 사는 게 제일 재미없고 병신스런 짓이다. 

그걸 아는 내 친구들은 바보 같은 놈들이란 걸 뻔히 알면서도 

서로 친하게 지낸다. 코르크마개 같은 놈들이라 그렇다 



Posted by 망망디
,






근식이 형이 어제 혜자에게 전화를 했다.


 "내가 할 줄 아는 게 노래 만드는 것밖에 없어서. 급하게 한 번 만들어 봤어..." 


세월호 침몰 사건을 매일 뉴스로 지켜보다가 도저히 참을 수 없어서 그 애들에게 미안하다는 말을 전하고 싶어 노래를 만들었다고 한다. 우리 부부는 기성 가수들에게 이 노래를 부르게 하는 것보다는 그냥 형이 일단 거칠게 부르고 다른 사람들도 자유롭게 따라 부를 수 있도록 했으면 좋겠다고 얘기했고, 형은 그렇게 했다. 


근식이 형은 어렸을 때부터 알던 동네 형인데 예전에 '새들처럼',  '너무 늦었잖아요',  '네게 줄 수 있는 건 오직 사랑뿐' 같은 변진섭의 히트곡들을 많이 만들었던 작곡가다. 상업적 노래만 만들던 작곡가지만 이 노래만큼은 일기 쓰듯 반성문 쓰듯 아무 것도 바라지 않고 만들었다고 한다. 


고마워, 근식이 형. 어제 전화로 들려주던 노래를 급하게 녹음까지 하느라 애썼네...




(더 많은 사람들이 부를 수 있도록 악보를 붙이겠습니다) 



Posted by 망망디
,

다른 예는 없을까? 비슷한 시기인 2001년 10월3일에 방영된 정치드라마 <웨스트윙>은, 새 시즌이 시작되는 날 정규 에피소드 대신 급하게 제작해서 만든 외전 격 에피소드인 ‘이삭과 이슈마엘’을 방영했다. 원래 내용과는 별개로 존재하는 독립 에피소드였던 ‘이삭과 이슈마엘’은 기독교 세계와 이슬람 세계의 오랜 반목에 대해 이야기하며 “이슬람 자체가 나쁜 것이 아니다. 평범한 이슬람 신도와 이슬람 근본주의자 사이의 간극은, 평범한 기독교 신도와 백인 우월주의 인종차별집단 케이케이케이(KKK) 사이의 간극과 같다”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사고의 배후로 오사마 빈 라덴이 이끄는 탈레반이 지목되면서 전미에 이슬람 신도들에 대한 증오가 들불처럼 번지던 시점에, <웨스트윙>은 무분별한 증오를 멈추자는 제법 용감한 메시지를 전달했다. 오프닝에 출연자들이 등장해 사고의 희생자들을 추모하고 그 가족들과 생존자들을 위로하며, 평소와는 달리 배우들의 크레디트 대신 생존자 및 구조자들을 위한 모금 번호를 안내하는 것은 덤이었다.


http://www.hani.co.kr/arti/culture/entertainment/634565.html



지상파 방송이 예능프로그램을 재개했다고 합니다. 아직도 인양작업이 계속되고 있는 와중에 벌써 TV 속에서 웃고 떠드는 모습이 폭력이 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Posted by 망망디
,

히말라야 고지대에 자리한 부탄은 2013 기준으로 인구 73만명, 1인당 국민소득 2863달러로 작고 저발전된 나라의 전형이다. 하지만 유럽 신경제재단(NEF) 국가별 행복지수 조사에서 부탄은 국민의 97%나는 행복하다 답변해 세계 1위를 차지했다. 반면에 우리나라는 같은 조사에서 143개국 68위라는 기대이하의 저조한 행복도를 기록했다.


부탄의 국왕은 취임 이래국민소득(GDP) 아니라 국민행복(GNH) 기초해 나라를 통치하겠다 공언해 왔다. 부탄은 이웃 국가인 중국과 인도가 경제성장에 몰입하는 와중에도 심리적 웰빙, 생태계 보호 국민들의 행복을 증진하는 일에 주력해 왔다.



한편 OECD 2012 36 회원국을 대상으로 조사한 행복지수 결과에 따르면 한국은 63.2(110 만점)으로 하위권인 24위를 차지했다. 한국은 교육(6), 정치참여(11), 치안(12) 등에서 선전한 반면에 주거(22), 일자리(25), 환경(29), 건강(33), 일과 삶의 조화(33), 공동체 생활(35) 등에서 부진했다. 참고로 호주(87.5) 1위를 차지했고 노르웨이, 미국, 스웨덴 등이 뒤를 이었다. 더불어 일본은 21, 멕시코와 터키가 각각 35위와 36위로 최하위였다.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404252059235&code=990304



'국민행복'은 고사하고 '국민안전'도 믿을 수 없는 대한민국. 정말 괴롭고 화가 납니다

Posted by 망망디
,

포스터 교수는 건축에서 외관의 투명성이 내용을 변화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희망에 대해 비판적이다. 그는 “건축가나 대표자의 눈에는 탁 트인 사무공간이 위계를 없앤 민주적인 공간으로 보일 수 있지만, 피고용인에게는 죄수를 한눈에 감시하는 파놉티콘처럼 억압적일 수 있다. 그렇게 되면 처음에 투명하게 보였던 것이 극적인 구경거리로 전락하고, 빛과 유리도 관심거리 이상의 가치, 즉 책임 있는 시정의 의미를 상징적으로 나타내지 못한다”고 지적한다.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code=960202&artid=201404212101215


회장님과 사원의 생각은 다르다. 

그런데 대부분의 윗사람들은 그걸 알지 못한다. 

남의 생각을 헤아릴 필요가 없는 위치에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좋은 윗사람 되기가 어려운 모양이다. 



Posted by 망망디
,

"돈을 정말 많이 벌었다 치자. 그 다음에 하고 싶은 게 뭔가. 인간 본능으로 들어가보면, 정말 인간이 하고 싶은 건 디지털 세상 안에 있지 않을 거다. 친구랑 놀고, 요트 타고, 책 내고, 옷 만들어 팔고, 자기 집 짓고 싶어 한다. 나는 ‘지금’ 그걸 하고 있는 거다. 우리 회사 미션이 ‘나중에 하고 싶은 걸 지금 한다’다.” 

"나는 이렇게 보이고 싶어, 이게 브랜딩이다. 브랜딩이 잘 되면 디자인은 거저 주워 먹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당 인테리어를 할 때 ‘벽 컬러를 뭐로 할까’라는 식으로 접근하는 게 아니라 우선 ‘이 가게를 왜 하려는 것인가‘를 스스로 물어야 한다. 그걸 명확하게 답할 수 있다면 디자인은 저절로 나온다. 옷을 입을 때 ‘당신이 어떤 사람처럼 보이고 싶은가’가 중요하지, ‘진한 수트가 좋은가, 밝은 수트가 좋은가’가 중요한 게 아닌 것처럼.”


                                                                                    JOH&컴퍼니 조수용 대표 






"예를 들어 식당 인테리어를 할 때 ‘벽 컬러를 뭐로 할까’라는 식으로 접근하는 게 아니라 우선 ‘이 가게를 왜 하려는 것인가‘를 스스로 물어야 한다. 그걸 명확하게 답할 수 있다면 디자인은 저절로 나온다."


내가 하는 일인 광고도 그렇지 않을까? 왜 하려는지를 알면 답은 쉽게 나온다. 그러나 사람들은 자기가 그 일을 왜 하는지 모르면서 알고 있다고 거짓말 하는 경우가 많다. 클라이언트도그렇고 크리에이터나 기획자들도 그렇다. 그래서 세상 대부분의 일은 더디고 힘들어진다. 





Posted by 망망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