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가 다 가기 전에 이승우의 [사랑의 생애]에 대해 몇 자 기록해 놓아야겠다고 생각했다. 2017년 1월부터 지금까지 읽은 책이 몇 권이나 되는지는 잘 모르겠으나 그 중 딱 한 권을 꼽으라고 하면 나는 한국 소설 쪽에서는 이 작품을 꼽고 싶으니까(외국 작품은 로런 그로프의 [운명과 분노]).


형이상학적 소설을 쓰기로 유명한 '심각 보이' 이승우가 이번에 잡은 주제는 '사랑'이다. 그런데 소재도 '사랑'이다. 주제가 사랑이라는 건 따지고 보면 거의 모든 소설에 적용되는 것이니 그렇다 친다 해도 소재조차 사랑이라는 건 일단 모험이 아닐  수 없다. 심지어 주인공도 사람이 아니라 사랑이다. 첫 문장을 보자.

사랑하는 사람은 사랑의 숙주이다.

영화 [에이리언] 시리즈에서 우주괴물들이 인간의 몸을 인큐베이터처럼 이용한 것처럼 이번엔 형체도 체취도 없는 사랑이라는 개념이 우리 몸을 빌려 세상에 나오고 살아갈 힘을 얻는다는 주장이다. 언뜻 관념의 장난이나 궤변처럼 느껴지는 이 명제를 증명하기 위해 작가는 형배와 선희라는 구체적인  인물들을 데려온다. 소설 초반에 "나는 사랑할 자격이 없어."라는 말로 이별을 통보하는 형배. 그 말을 듣고는 기가 막혀서 " 지금, 사랑할 자격이 없다는 말을 흡사 독립선언문 낭독하듯 하고 있는 거 알아?" 라고 묻는 선희. 두 남녀는 그렇게 헤어지고 그들이 헤어지는 과정에서 사랑이라는 존재가 어떤 의미인가, 형배가 자학에 가까운 선언을 함으로써 얻는 것은 무엇인가, 사랑에 있어서 진정한 약자와 강자는 누구인가 등에 대한 작가의 상념들이 유려하면서도 집요한 문장으로 쫀쫀하게 이어진다. 

그리고 몇 년 후 두 사람은 친구의 결혼식장에서 우연히 만나게 되는데 그때 형배는 그녀의 귀가 하트 모양이라는 것을 처음 알게 되고 뒤늦게 혼자 사랑에 빠진다. 쉽게 말해 사랑의 포로가 된 것이다. 그러나 이미 때는 늦었다. 왜 대개의 사랑은 이렇게 타이밍이 잘 맞지 않는 것일까.

자기가 찍은 거의 모든 여자와 자는 바람둥이 준호는 그런 형배를 '진실한 사랑은 평생 한 번 뿐'이라는 그릇된 신화에 사로잡혀 그런 것이라고 비판한다. 여기에 한 술 더 떠서 작가는 평생 세 번 약혼하고 세 번 파혼한 프란츠 카프카의 예를 들며 준호의 입장을 옹호한다. 카프카가 아버지에게 보낸 편지 중 '감옥에 갇힌 죄수'의 욕망과 딜레마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죄수는 탈옥을 해서 감옥 밖에서 새로운 삶을 살고싶은 욕망을 가지고 있지만, 동시에 감옥을 잘 개조해서 그 안에 살고 싶은 욕망도 가지고 있다. 누구나 갑자기 나타난 해결점 앞에서 망설일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흡사 영화 [빠삐용]에서 드가가 그랬던 것처럼. 

이 소설은 작가가 카프카의 약혼 이야기를 몰스킨에 메모하면서 시작되었다고 한다. 몰스킨에 적힌 단상이 스마트폰의 메모장으로 옮겨 갔고 그 후에 생각날 때마다 메모한 문장들이 그대로 소설의 소제목들이 되었다. 그리고 형배, 선희와 그녀의 새로운 사랑 영석, 그리고 친구 준호와 민영, 그리고 형배의 어머니까지 소환해 사랑이라는 이 복잡미묘한 감정이 인간을 어떻게 이용하고 지배하는지를 세밀하게 관찰한다.

책을 읽으면서 그의 집요한 문장에 매번 감탄했다. 처음엔 형이상학적인 것 같아 저항이 일었지만 곧 저항을 포기하고 리드미컬하게 그 문장에 몸을 실으면 어느 순간 롤러코스터를 탄 것 같은 쾌감이 몰려왔다. 특히 등장인물들의 사랑에 대처하는 어이 없는 상황마다 카프카는 물론 앙드레 지드의 [좁은 문], 셰익스피어의 [오셀로] 등 고전들이 등장해 인간 심연에 숨어있는 보편적인 심리를 새삼 일깨워주기도 해서 더 흥미로웠다. 

이승우는 프랑스에서 특히 인기가 높은 소설가다. 그만큼 관념적으로 뛰어난 직조를 선보인다는 뜻일 것이다. 개인적으로는 황석영이나 고은 선생이 노벨문학상을 못 타고 작고한다면 나중에 우리나라 최초의 노벨상은 아마 이 작가에게 돌아가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점쳐보기도 한다. 

사랑이 무어냐고 물으신다면 눈물의 씨앗이라고 말하겠어요...

아주 어렸을 때 나는 어른들이 부르는 이 노래를 듣고 자랐다. 아마 그때도 사랑은 중요했고 그 본질이 무엇이지에 대해서도 다들 궁금해했던 것 같다. 그러나 사랑이 무엇이냐 묻는 것만큼 어리석을 일이 또 있으랴. 물어봤자 답이 없는 것이 사랑일 텐데. 다행히 사랑이 무엇인지에 대한 구라로 소설책 한 권을 채운 이승우도 비슷한 생각을 가지고 있는 것 같다.

신은 일한다. 일하는 신에 대해 이야기하는 사람은 신의 존재 근거나 방식에는 관심 없다. 사랑의 행위를 하고 있는 사람, 사랑하느라 바쁜사람은 사랑이 무엇인지, 그것의 근거나 방식이 어떠한지 궁금해하지 않는다.  진정으로 살지 않는 자가 삶이 무엇인지 묻는다. 참으로 사랑하지 않는 자가 사랑이 무엇인지 알고자 한다. 중요한 것은 아는 것이 아니라 '삶을 하고' 사랑을 하는 것이다. 정의 내리는 것이 아니라 경험하는 것이다.


그러니 걸핏하면 '도대체 자기는 나를 사랑하긴 하는 거야?'고 묻는 여자친구가 았다면 이 책을 선물하라.  그리고 사랑은 하는 것이지 묻는 게 아니라고 점잖게 말하라. 이때 모텔 간판을 가리키며 말하면 빰을 맞을 것이요, 꽃이나 목도리를 내밀고 말하면 미소와 키스를 받을 것이다(자매품으로 조중걸의 [러브 온톨로지]라는 에세이도 있다. 사랑에 대한 철학적 탐구와 아포리즘으로 가득한 책이다. 내 아내 윤혜자가 기획한 책이라 그런 건 물론, 절대, 아니다). 


Posted by 망망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