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성준 페이스북'에 해당되는 글 2건

  1. 2014.07.20 사람들이 놀러오는 집
  2. 2014.02.10 그래, 산다는 건 이런 거지 – [그렇게 아버지가 된다] 2



제가 대학생 때 저희 어머니가 아침에 일어나 제일 먼저 하는 일은 현관에 있는 신발들의 숫자를 세는 것이라고 하셨습니다. 신발의 숫자를 센 뒤 그걸 반으로 나눠 그 인원만큼 밥을 해놓고 출근을 하셔야 했으니까요. 그 신발들의 주인은 저의 친구일 때도 있고 제 형의 친구일 때도 있었습니다. 어떤 때는 저의 친구들과 형 친구들이 밤에 집에서 마주쳐 같이 술을 마시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아무튼 스무 살 무렵의 저와 저의 친구들은 참 무던히도 서로의 집으로 놀러 다녔습니다. 저녁에 술을 마시다가 누군가가 “오늘은 우리집으로 갈까?”라고 하면 모두 두말없이 일어서 그 친구집으로 이차를 갔습니다. 그게 독산동의 용선이네 집일 때도 있었고 부천의 상혁이네 집일 때도 있었습니다. 구파발에 있던 저희집에도 수많은 친구와 선후배들이 다녀갔죠. 다행히 저희 어머니는 “집엔 사람들이 많이 놀러와야 한다”라는 철학을 가지고 계신 분이었습니다. 그래서 전  아무리 늦은 시간이라도 집으로 친구들을 끌고 갈 수 있었고 다음날 느즈막히 깨어 식구들이 모두 나간 집안을 활보하다가 친구들이 씼기를 기다려 밥을 잔뜩 퍼먹고 학교로 가곤 했습니다. 


그런데 그런 버릇은 독립을 하고 직장생할을 하면서도 계속 되었습니다. 특히 TBWA/Korea라는 광고대행사를 다니던 2000년도 무렵 제가 살던 강남역 ‘ZOO 002’ 뒤 ‘프레피’라는 커피숍 3층의 원룸은 그 회사 동료들이나 광고회사 친구들이 뻔질나게 놀러와 술을 마시다 가거나 자고 가는 일종의 여인숙 같은 곳이었습니다. 회사가 걸어서 10분 거리였고 야근이 많다 보니 어떤 경우엔 술도 안 마시고 밤에 들러 잠만 자고 가는 인간이 있을 정도였으니까요. 대학 때 친구들이 자주 놀러가던 연희동 재섭이네 집 별칭이 ‘재섭장’이었던 것처럼 그때 저의 집 별명도 ‘성준장’이었습니다. 생각해보면 그때나 지금이나 저는 늘 집으로 사람들이 놀러오는 걸 좋아하는 인간형이었던 것입니다. 


지난 금요일, Y대표와 L피디가 밤 열시 반에 저희 집으로 놀러와 문어와 술을 먹고 갔습니다. 아내가 SNS를 통해 알게 된 분에게 직접 주문한 문어가 도착하는 날이었기 때문이었습니다. 원래 아내가 ‘문어번개’를 쳤을 때는 K실장, J실장, 또다른 J실장 등이 오기로 되어 있었습니다. 아니면 저랑 같이 일을 하는 Y피디나 우변(변호사가 아닙니다)을 초대할 생각이었습니다. 그런데 저희 업계 일이 늘 그렇듯이 원래 멤버들은 모두 다른 스케줄이 생겨 줄줄이 취소가 되고 Y피디와 우변도 그날 편집실에서 밤을 새게 되는 바람에 결국 그 시간까지 저와 회의를 하던 Y대표와 L피디가 어부지리로 문어를 먹는 영광을 누리게 된 것입니다. ‘어부지리 문어회동’은 새벽 두 시 반까지 이어졌습니다. 역시 즐거운 자리였습니다. 이런저런 사는 얘기와 일 얘기가 이어졌고  우리가 공통으로 알고 있는 추억의 인물들이 차례차례 도마 위에 올라와 잘게 부서지는 시간이기도 했죠. 다음날 아침 아내는 출근준비를 하고 있는 제게 와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나는 정말 친구들이 우리 집에 놀러 오는 게 좋아. 그 사람들이 와서 내가 해주는 음식들을 맛있게 먹고 술이 취해 집으로 돌아가는 게 좋아. 그리고 그렇게 많은 돈이 드는 건 아니지만 나중에라도 우리가 이런 데 쓰는 돈을 아까워 하지 않고 계속 이렇게 부자로 살았으면 좋겠어.” 



다행입니다. 저는 지금 같은 인생관을 가진 사람과 비슷한 지향점을 가지고 살고 있으니까요. 비록 좀 더 편안하게 길게 쓰고 싶은 이 글을 여기서 마감하고 일요일인 오늘밤에도 야근을 해야하는 좀 한심한 처지이긴 하지만 말입니다. 






'음주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철학하는 메밀소바 - 부산 벡스코역 면옥향천  (0) 2017.06.25
사람들이 놀러오는 집(예고편)  (0) 2014.07.19
음주일기 51  (0) 2012.02.29
음주일기 50  (0) 2012.02.29
음주일기 32  (0) 2012.02.28
Posted by 망망디
,






금요일 오후, 예정되었던 일정들도 미리 앞당겨져 다 소화되는 바람에 졸지에 사무실에 한가한 바람이 불길래 옆방의 윤PD를 꼬셨습니다. 


 “[그렇게 아버지가 된다] 보러 가자. CGV압구정, 3시 20분 있네. 표는 내가 살게.” 


대뜸 넘어오는 윤PD. 그래서 오래 전부터 보고 싶어했던 영화 [그렇게 아버지가 된다]를 드디어 보게 되었습니다. 



이 영화의 주인공 후쿠야마 마사하루는 NHK의 대하드라마 [료마전]의 타이틀롤을 맡았던 미남 배우죠. 히가시노 게이고 원작의 탐정물 [갈릴레이] 시리즈의 주인공이기도 하구요. 언제 봐도 준수한 외모와 좋은 인상, 그리고 완벽에 가까운 자기관리 등으로 이름이 높죠. 1969년생인가 그런데 아직도 결혼을 안 해서 그런지 지금도 ‘크리스마스를 같이 보내고 싶은 연예인’ 같은 앙케이트 조사에서 해마다 높은 순위를 차지하는 엄청난 훈남입니다. 그것도 모자라서 실력 있는 싱어송라이터이기도 하다죠? 나 참. 


그런데 후쿠야마 마사하루만큼이나 저를 반갑게 했던 인물은 상대역으로 나오는 릴리 프랭키였습니다. 이름이 좀 이상하죠? ‘Frank Goes to Hollyood’ 라는 영국 그룹이 있었는데 거기서 따온 예명이랍니다. 이 사람은 연기자이기 이전에 일러스트레이터였고 칼럼니스트였고 작곡가였고 라디오 DJ였으며 소설가였습니다. 보잘것없게 생겼는데 레오나르도 다빈치처럼 다방면에 눈부신 재능을 뿜어내는 인간이죠. 예전에 후쿠야마 마사하루와 함께 [료마전]에도 특별출연 했습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공전의 히트를 기록한 [도쿄타워 : 엄마와 나, 때때로 아버지]라는 자전적 소설의 작가이기도 합니다. 전 이 소설을 읽고 정말 펑펑 울었는데 나중에 알고 보니 이 책이 출간되었을 때 광고 카피가 ‘우는 얼굴을 보이기 싫다면 전철에서는 읽지 마라’였다네요. 나 참. 그런데 아마 지금 읽어도 또 울 겁니다. 어머니가 돌아가시기 전에도 그 책을 읽고 그렇게 울었는데 이젠 저도 릴리 프랭키처럼 어머니가 돌아가셨으니까요. 



영화는 아이가 병원에서 바뀐 줄도 모르고 육 년 동안이나 친자식으로 키워오다가 어느날 그 사실을 알게 되어 당황하는 두 집안의 이야기를 그렸습니다. 매우 극적인 사건이지만 그 다음부터는 지극히 현실적으로 이야기를 풀어나갑니다.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은 늘 그렇습니다. 죽어서 림프계에 머물게 된다거나(원더플 라이프), 엄마가 아이들을 버리고 다른 곳으로 시집을 가버린다거나(아무도 모른다), 실직한 사실을 숨기고 형의 기일을 챙기러 부모님댁으로 찾아 온다거나(걸어도 걸어도) 하는 돌발상황을 던져놓고 관객들로 하여금 그 안에서 살아가며 변화하고 변화시키는 인간들의 모습을 섬세하게 관찰하게 합니다. 그러다 보면 자기도 모르게 어떤 묵직한 울림이나 깨달음이 다가오는 것이지요. 특수한 상황을 통해 인류 보편적 가치까지 서서히 끌어올리는 통찰력이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을 젊은 거장으로 불리게 한 힘일 것입니다.    


후쿠야마 마사하루가 맡은 아버지 역은 빈틈없고 세련된 성공 비즈니스맨의 모습입니다. 당연히 이 문제도 아주 이성적으로 풀어가려고 하죠. 반면 상대편 아버지 역을 맡은 플랭키 릴리는 시골에서 전파상을 운영하는 평범한 남자입니다. 문제의 아들 말고도 두 명의 아이를 더 키우고 있는 40대의 중년이구요. 당연히 영화는 후쿠야마 마사하루 부부의 입장에서 진행이 됩니다. 어쩐지…수학이나 피아노를 잘 못하는 거 보면 역시 핏줄이라는 건 무시할 수 없는 거야. 저렇게 초라한 전파상을 하면서 애들을 제대로 키울 수 있는 걸까? 차라리 우리가 두 아이를 모두 키우면 안 될까…? 


그런데 시간이 갈수록 후쿠야마 마사하루의 얼굴은 점점 초조해지는 반면 릴리 프랭키의 표정은 늘 여유가 있습니다. 그건 두 가족이 함께 만나 시간을 보내는 장면에서 여실히 드러납니다. 엘리트 아빠는 자기 친아들과도 마음을 터놓지 못하고 서먹서먹해 하는데 전파상 아빠는 패스트푸드점 놀이시설에서 아이들과 한덩이가 되어 뒹굴고 웃으며 순간을 즐깁니다. 어떤 가정이 더 행복할 지는 관객이 눈으로 지켜보는 바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특히 히로카즈 감독은 아이들을 참 잘 찍습니다. [아무도 모른다]를 찍을 때는 아이들에게 연기지도를 하는 대신 촬영 직전에 아이들에게 다가가 앞으로 찍을 내용을 귀에 조용히 속삭여 주고는 그냥 마음대로 놀게 했답니다. 그러니까 이렇게 자연스러운 연기들이 나오는 것이겠죠. 저는 아이를 별로 좋아하지 않는 편인데도 이 감독의 영화에 나오는 아이들을 보고 있노라면 참 사랑스럽구나 하는 생각과 함께 ‘아이들에겐 아이들의 생각이 있다’ 라는 사실을 깨닫곤 합니다. 



영화 도중 초밥 먹는 장면이 나오자 “외, 맛있겠다!”라며 입맛을 다시던 윤PD는 영화가 끝나고 밖으로 나오자 대뜸 초밥 얘기부터 합니다. 



윤PD : 정했어요. 오늘 저녁엔 혼자라도 회를 먹을 생각입니다. 

성준 : 영화 참 좋지? 


윤PD : 그러게요. 잔잔하게 찍었는데도 하나도 지루하지가 않아요. 

성준 : 저런 게 바로 사는 거구나, 하는 생각이 들지? 


윤PD : 예, 애를 하나 낳아볼까 하는 생각이 다 들더라니까요. 

성준 : 하하. 잘 생각해. 



윤PD나 저나 둘 다 아이가 없는 놈들인데도 [그렇게 아버지가 된다]라는 영화를 보았습니다. 그러나 상관 없습니다. 이 영화는 좋은 아버지가 되는 법을 가르쳐 주는 영화가 아니라 어떻게 사는 것이 행복한 인생인지를 질문하게 하는 영화니까요. 그리고 좋은 인간이 되는 법을 함께 고민하게 해주는 좋은 영화니까요.  






Posted by 망망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