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 한 여덟 살이나 아홉 살 때쯤이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당시 동양방송(지금의 JTBC인데 1980년 군사정권 때 KBS로 통폐합 되었죠. 중앙일보가 그때의 억울함 때문에 그리 이를 악물고 종편을 따냈던 것입니다)에 'TBC향연'이라는 교양 프로그램이 있었는데 어느날 거기에 이은관이라는 불세출의 국악인이 나와 배뱅이굿을 완창했습니다. 억울하게 죽은 부잣집 딸 배뱅이의 혼을 달래는 굿마당을 지나던 주인공은 공짜술이나 한 잔 얻어먹을 요량으로 그 집에 들어갔다가 졸지에  박수무당 노릇을 하게 됩니다. 큰 소리를 치긴 했지만 아무 것도 할 줄 모르던 주인공은 마침 배뱅이 할아버지의 갓을 찾는 기발한 꾀를 내는 바람에 '배뱅이의 환생'으로 행세를 하게 되죠. 저와 저희 형은 정말 넔을 잃고 그 프로를 끝까지 다 보았습니다. 땀을 뻘뻘 흘리며 꼬장꼬장하게 완창을 하던 이은관 씨의 모습이 지금도 눈에 선하네요.


그런데 그 후로는 국악이나 마당극을 볼 기회가 거의 없었죠. 더구나 저는 대학 때 통기타 동아리를 하는 바람에 국악과는 더더욱 멀어질 수밖에 없어습니다. 그래도 어쩌다 마당극이나 판소리 공연은 보게될 때면 그 때마다 참 신기합니다. 고수와 함께 소리꾼 딱 한 사람이 나와 두어 시간 쉬지 않고 소리도 하고 사설도 늘어놓고 하는데 그 원맨쇼에 관객들은 훌러덩 빠져들어 어느 순간은 깔깔깔 웃고 어느 대목에선 불현듯 눈시울을 붉히곤 하니까요. 서로 아는 처지니까 좀 봐주자고 약속한 것도 아닌데 소리꾼이 변신을 할 때마다 사람들은 그가 제시하는 캐릭터마다 동화되어 사사건건 기꺼이 그의 마술에 빠집니다.


지난 일요일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심청전을 현대적으로 각색한 1인 창극 '눈먼사람'. 소리꾼 김봉영 씨가 극본을 쓰고 직접 출연까지 했습니다. 공연 첫날이라 음향 상태가 간혹 좋지 않았고 소리꾼의 목도 많이 잠겨 있었습니다. 그러나 널리 알려진 심청전을 '조금' 현대적으로 각색하고 심청이 아버지 심학규를 맹인 이야기꾼으로 만든 뒤 멍석까지 한 장 깔아주니 아주 그럴듯한 무대가 완성되었습니다. 게다가 마당극의 흐름을 튼튼하게 받쳐주는 북은 물론 드럼, 신디싸이저 등으로 풍부한 음향을 만들고 그 위에 아쟁 연주로 방점을 찍으니 객석 여기저기에선 스스로 '고수'를 자처하고 앞다투어 추임새를 넣는 지경에 이르렀던 것입니다.


비록 목소리는 잠겨 고생을 했고 마지막에 수염까지 떨어지는 바람에 집중력도 떨어지긴 했지만 김봉영은 역시 베테랑 소리꾼이었습니다. 시작부터 끝까지 능수능란하게 소리와 사설을 자유자재로 섞어 스토리텔링을 완성했고 돌발적인 상황이 생길 때마다 특유의 애드립으로 오히려 관객들을 더 즐겁게 했습니다. 특히 이날 공연은 맨 앞에 앉아 있던 젊은 여자관객 한 분에게 심봉사가 시비를 살짝 걸어봤는데 이 분이 의외로 넉살 좋게 대거리를 척척 잘 해주는 바람에 더 즐거운 공연이 되었습니다. 푸른색 도포와 지팡이 하나만으로도 어찌나 입체적인 공간과 감성을 잘 표현해 내던지 그가 웃을 땐 객석 전체가 동시에 웃음바다였고 그가 눈물을 보일 때면 객석 여기저기서 그렁그렁한 눈망울들이 반짝였습니다.


관객의 마음을 들었다놨다 하던 중간까지의 극의 흐름에 비하면 "자, 오늘 내가 준비한 이야기는 여기까지요. 그러니 이제 다들 돌아가시오..."라고 말하는 마지막은 다소 허탈했죠. 기-승-전-결을 기대했던 관객에게 '기-승-전-허탈'을 선물했다고나 할까. 마지막에 이 극이 탄생하게 된 기획 뒷이야기나 에피소드 등으로 짧게 한 대목만 더 만들어 '매조지'를 했으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았습니다. 뭐, 다만 그런 생각이 들었다는 것입니다. 아마 첫 공연이었기도 했고 또 제가 그날 연극을 본 뒤 대학로에서 편안하게 한 잔 하지 못하고 일요일인데도 불구하고 곧바로 회사로 돌아가 회의를 하는 바람에 더 그런 심통이 났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아무튼 오랜만에 판소리 공연을 한 편 보아 매우 좋았습니다. 더구나 제게 이런 공연을 시시때때로 저렴한 가격에 보여주시는 오준석PD 같은 분이 계시니, 어찌 좋지 않을 수가 있겠습니까마는.




Posted by 망망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