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작자들에게 가장 큰 애증의 대상은 누구일까. 아마 스승과 제자 사이가 아닐까 한다. 자신의 모든 것을 남김 없이 전해준 스승, 그리고 걷는 법부터 시작해 창작의 방법론까지 그에게서 모든 것을 다시 배운 제자. 서로는 너무나 잘 아는 사이이면서도 주종 관계에 놓일 수밖에 없기 때문에 애증이 존재할 수밖에 없다. 더구나 제자들에게는 제 스승을 넘어서야 하는 무의식적인 의무감까지 있다. 흔히들 '스승의 그림자도 밟지 않는다'라는 말이 스승을 존중하고 어려워하는 말로 해석하지만 사실은 스승이 이룩한 길을 피해 새로운 길을 만들어 가야 한다는 뜻이라고 한다.


여기 스승과 제자 사이에서 발생하는 애증의 결정판 같은 이야기가 있다. 토종 연극 <도둑맞은 책>이 바로 그것이다. 현재 천만 관객을 동원하는 작품을 쓸 정도로 잘 나가는 시나리오 작가가 된 서동윤은 어느 날 자신의 보조작가였던 조영락에게 납치를 당한다. 영락은 스승의 방과 똑같이 꾸민 곳에 그를 집어넣고 최소한의 음식과 커피만 제공하면서 자신이 원하는 이야기를 쓰라고 위협한다. 주제는 '슬럼프에 빠진 작가가 살인을 하고 그의 작품을 훔친다'이다. 동윤은 지금 벌어지고 있는 이게 다 무슨 미친 짓인가 하는 생각에 쓴웃음을 지으며 제자에게 욕을 하고 야단을 친다. 그러나 휠체어에 자신의 두 팔을 결박한 채 골프채를 휘두르며 달겨드는 영락을 본 후로는 쉽게 웃을 수 없게 되었다. 자, 좋든 싫든 살기 위해선 시나리오를 써야 한다. 어디서 많이 본 얘기라고? 그렇다. 모티브만 놓고 보면 캐시 베이츠가 출연했던 스티븐 킹 원작의 영화 <미저리>가 떠오른다. 그러나 모티브는 비슷해도 지향하는 바가 다르기에 각 작품이 도달하는 위치는 사뭇 다르다.


이 연극은 원래 영화를 위해 씌여진 글(2011년 대한민국 스토리공모대전 수상작)에서 시작되었다고 한다. '스릴러의 외피를 두른 심리 드라마'라는 부제를 가지고 있지만 사실 위에서 언급한 '미저리'를 생각하면 이 컨셉은 스릴러나 심리 드라마로서 그리 새로운 이야기는 아니다. 그런데 살아남기 위해 할 수 없이 글을 쓰던 서동윤이 작품이 진행됨에 따라 점점 자신의 시나리오에 애착을 갖게 되고 어느 순간부터 영락과 함께 '좋은 작품을 완성하기 위해' 진정으로 고민하는 장면부터 이야기는 급속도로 재미있어진다. 그리고 시나리오 안으로 들어가면서 생기는 플래시백을 통해 맨 처음 수업 시간에 <차이나타운>의 시나리오 작가가 누구인가를 묻는 장면부터 시작된 두 사람의 '영화지식 겨루기'가 엎치락뒤치락하며 오타쿠적인 이야기를 만들어가는 즐거운 장면들을 목격할 수 있다. 동윤을 위협하면서 예전 스승의 가르침을 하나하나 상기시키고 지금 동윤이 쓰는 시나리오에 적용시키며 비웃는 영락, 그리고 그에 맞서 최소한의 자존심을 지키려 몸부림치는 동윤. 이 연극은 어쩌면 그런 두 남자의 불꽃 튀는 화학작용이 가장 큰 '스펙터클'일지도 모른다. 그렇다면 이 작품의 장르적 분류는 작가를 위협하며 자신이 원하는 방향대로 글을 쓰게 하는 미친 팬심 스릴러 <미저리>보다는 기존 공포영화의 온갖 룰들을 들먹이며 가지고 놀던 <스크림>의 악동들 쪽에 더 가까운 듯하다. 


연극이 시작되기 전에 객석을 둘러보니 오른편 뒤쪽에 배우 송영창이 혼자 앉아 있었다. 더블 캐스팅 중인 배우가 다른 팀의 연기를 모니터링 하며 자신의 대사도 한 번 더 점검하기 위해 온 것이다. 그날 밤 연극이 끝나고 서동윤 역을 맡은 박호산 배우와 술을 한 잔 하며 들어보니 지금 진행되고 있는 캐스팅 중 송영창 박용우 팀은 '클래식'에 가깝고, 자기네팀은 '재즈' 분위기를 내기로 해서 똑같은 연출가와 각본이라도 아주 다른 연극으로 관객들에게 다가간다고 한다. 욕심 같아서는 다른 팀의 공연도 한 번 관람하고 싶은 마음이 굴뚝이지만, 내가 뭐 평론가도 아니고 또 그렇게 시간을 낼 자신도 없다. 사실은 그날도 갑자기 업무가 길어지는 바람에 야근하는 동료들을 놔두고 혼자 도망치듯이 뛰쳐나와 겨우 관람한 연극이었으니까.


얼마 전 성북동으로 이사를 와서 새로 생긴 이웃들이 몇 있는데 그 중 한 사람이 바로 박호산 배우였다(도대체 우린 이게 무슨 인복인지 모르겠다). 아무튼 같이 연극을 본 아내는 박호산 배우가 '너무도 능글맞게 연기를 잘 하는 바람에 무대 위로 달려가서 머리를 한 대 탁 때려주고 싶은 심정이었다'고 하며 웃었다. 노련하고 안정감 있는 배우와 연출의 힘이 균형감 있게 느껴지는 흐뭇한 공연이었다. 다만 소극장이라고 하기엔 공간이 약간 크지 않나 하는 아쉬움이 있었다. 소극장 공연은 관객이 바로 옆에서 피부로 느끼는 맛도 있는 법인데 말이다. 


9월 1일부터 25일까지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에 있는 충무아트센터 블루에서 만날 수 있다. 한가위 연휴 빨간날들 중 하루 골라서 이 연극을 한 번 보시는 건 어떨까 적극 권장하는 바이다.


Posted by 망망디
,


법정 스님도 생전에 신용카드를 만드신 적이 있었을까. 영화 <화차>를 보면서 이런 엉뚱한 생각이 들었다. 이 영화는 카드빚과 사채에 몰려 자신의 인생을 버리고 남이 되어 살아보려고 했던 한 여인의 이야기다. 법정 스님께서는 누군가가 선물한 난 화분을 키우다가 무소유야말로 진정한 행복이라는 걸 깨달았다지만, 그건 도 닦는 분들이나 가능한 얘기고 우리 같은 장삼이사들은 사랑이든 건강이든 집이든 뭐든지 소유해야 행복을 느낀다. 아니 그래야 행복과 조금 더 가까워지리라 믿는다.


결혼을 앞두고 이제 막 나온 청첩장을 들고 예비 시댁을 찾아가던 선영과 문호. 그런데 휴게소에서 선영이 사라진다. 감쪽같이. 문호는 급하게 줄행랑을 친 흔적이 역력한 선영의 집안을 확인한 뒤에야 망연자실 한다. 전직 형사였던 사촌형 종근의 수사에 의해 선영의 사연이 점차 밝혀진다. 우선 선영이는 강선영이 아니라 차경선이란다. 그리고 전 직장도 가짜, 고향도 가짜. 어제까지 한 침대에 누워 신혼 살림을 꿈꾸던 여자에 대해 문호는 도대체 아는 게 하나도 없다.

<화차>는 미야베 미유키 원작 소설을 변영주 감독이 5년이나 주물러 2012년 대한민국에 맞춰 재구성한 영화다. 이전 영화들이 좀 느슨했고 비교적 저예산에 김민희라는 카드도 그리 미덥지 않았지만 막상 뚜껑을 열어보니 예상보다 아주 잘빠진 작품이 나왔다.

차경선은 아버지의 빚에 몰려 사채를 쓰게 되고 그 빚에 의해 개인파산을 당한 고아다. 세상에 의지할 데 하나 없는 그녀는 결국 자신과 비슷한 여자를 골라 살해하고 그녀의 신분을 차지해야만 살 수 있다. 물론 용서할 수 없는 일이다. 그러나 선택의 여지가 없는 사람에게 용서라는 말은 사치에 지나지 않는다. 잘못된 길임을 알면서도 그 길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계속 달려야 하는 사람의 내면은 얼마나 외로운가.

김민희의 순간 집중력은 놀랍다. 펜션 장면에서 김민희는 놀라운 연기를 펼치는데, 정작 본인은 그 장면을 어떻게 찍었는지 전혀 기억을 하지 못한다. 촬영이 끝나자마자 기절했다고 한다. 얼만 전 서울아트시네마 ‘친구들 영화제’에서 로만 폴란스키의 <차이나타운> 상영 후 변영주 감독과 함께 관객과의 대화에 나섰던 김민희는 “페이 더너웨이가 잭 니콜슨에게 뺨 맞는 장면을 더 일찍 봤더라면 <화차>에 응응할 수 있었을 텐테…” 라고 아쉬워했다. 그런데 그 마음가짐이 헛되지 않았나 보다. 이번 영화를 보면 누구든 그녀가 이미 연기파 배우의 반열에 올랐음을 확인할 수 있을테니. 

미미 여사(미야베 미유키의 별명)의 원작을 읽었음에도 불구하고 마지막 순간까지 손에 땀을 쥐고 긴장을 늦추지 못한 것은 변영주 감독의 탄탄한 각본과 구성 덕분일 것이다. 거기다 조성하의 안정된 연기는 또 얼마나 영화를 빛내 주는가. 드라마 <대왕 세종>에서 왕세자의 스승으로 나올 때부터 정말 인상 깊었던 배우 조성하는 오락 프로그램 덕에 우연히 뜬 ‘꽃중년’ 이 아니라는 것을 이 영화에서 여실히 증명해 준다. 하다 못해 용산역으로 급하게 달려가야 할 상황이 닥치자 주차장에서 후배 형사에게 “야, 너 나 알아 몰라?” 라고 묻고는 “알죠. 선배님.”이라는 대답을 듣자마자 열쇠를 낚아채고는 “그럼 됐어.”하고 차를 몰고 가는 장면조차도 조성하가 연기해서 쾌감이 더 큰 것 같았다. 그에 비하면 다소 경직되고 전형적이었던 이선균의 작품 해석력은 좀 아쉽다.


자크 라캉은 “욕망은 빈 공간이 만드는 환상이므로 바랐던 것이 채워지는 순간 사라지고 만다”라고 했다. 문제는 바랐던 것이 채워져도 결국 제로에 가까워지는데 그게 채워지지 않았을 때는 도대체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가 하는 문제다. 그건 차경선 하나의 문제가 아니라 건설회사 CEO 출신 대통령과 5년 간 살아온 대한민국 구성원 전체의 문제이기도 하다. 그래서 이 영화는 참 무섭다. 일요일 심야영화로 봐서 더 후회했다. 욕망을 싣고 달리는 지옥행 급행 열차, <화차>는 마음이 스산해지는 공포영화다. 
 


 

Posted by 망망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