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남자와 한 여자가 뒤늦게 만나
살림을 합쳤다.
각자의 애인이나 옛 추억이야
당연히 정리를 했지만
책꽂이에는 아직도
과거의 편린이 조금씩 남아 있었다.
두 권의 책을 한 권으로
만드는 것이야말로
한 집에 사는 두 사람이
할 일이라 생각했다.
[토지]나 [태백산맥] 같은 대하소설들을
먼저 원하는 사람들에게 한 질씩 주었다.
시시한 추리소설이나
값싼 베스트셀러들은
그냥 버렸다.
그래도 책꽂이엔 이상하게
책들이 많았다.
어느날 저녁
거실 테이블에서 커피를 마시다가
각자 가지고 있던 시집들만 모아 보았다.
장정일의 <햄버거에 대한 명상>
정호승의 <새벽편지>
최영미의 <서른, 잔치는 끝났다>
정호승의 <별들은 따뜻하다>
유하의 <바람 부는 날이면 압구정동에 가야 한다>
황지우의 <어느날 나는 흐린 酒店에 앉아 있을 거다>
모두 두 권씩이었다.
어떤 이유에서건
당대에 화제가 되었거나
후대까지 스테디 셀러로
사랑을 받았던 시집들.
너무 흔하고 트렌디해서
살짝 민망하기까지 했던,
그러나 전생에 나누어 가졌던
깨진 거울조각처럼
이제 와서야 두 권이
제짝처럼 야하게 몸을 맞댄
그 시절의 공감대.
'2-1=1'
이 간단한 수식이
삶으로 들어왔을 때
우리는
비로소
하나가 되었다
2013년 9월의 어느날이었다.
'독서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유의지에 대한 어떤 의견 - 마리오 바르가스 요사 의 [염소의 축제] 중에서 (0) | 2017.11.11 |
---|---|
독서가들을 위한 변명 - [은유가 된 독자] (0) | 2017.11.08 |
김용과 스티그 라르손의 공통점이 만나는 곳 - [불을 가지고 노는 소녀] (0) | 2017.09.10 |
초상화로 시작하는 또 하나의 하루키 월드 - [기사단장 죽이기] (0) | 2017.08.25 |
그들은 왜 책방을 냈을까? (0) | 2017.08.09 |
TAG 바람 부는 날이면 압구정동에 가야 한다, 별들은 따뜻하다, 새벽편지 정호승, 어느날 나는 흐린 酒店에 앉아 있을 거다, 장정일, 카피라이터 편성준, 편성준의 독서일기, 편성준의 생각노트, 햄버거에 대한 명상, 황지우
댓글을 달아 주세요